IT Note/Infrastructure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재해복구를 간단하게 알아봅시다(2) 안녕하세요, 지난주에는 재해복구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시한번 리마인드 하면 재해복구에 관심있는 기업이 자사에 도입한 재해복구 시스템의 수준은 아래 표와 같이 5단계 정도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비용이 많이들긴 하지만 그만큼 재해복구 서비스에 대한 보다 폭넓고 확실한 서비스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3번 Diaster Recovery 수준에서의 재해복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무 연속성을 중요시하는 1금융권이나 2금융권에 속하는 기업들은 5번 Business Contiunity를 추구합니다. 여기서 핵심으로 등장하는 Business Contiunity(비즈니스 연속성)을 기반으로 한 재해복구 체계를 구축하는 4대 요소에 대해 좀 더 .. 재해복구를 간단하게 알아봅시다(1) 재해란 무엇일까요? 사전에는 이상적인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인 사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회적·경제적 피해를 재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IT 산업의 관점에서의 재해는 무엇일까요? 크게 나누어 보면 자연적 피해 또는 인재로 인해 전산시스템 가동이 전면 중단되고 허용 가능한 중단 시간을 초과하여 생기는 피해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발생한 시스템 불능 상태로서 수분에서 수시간 내에 복구가 가능한 피해로 나눌 수 있는데요. 요약하자면, 재해 및 장애로 인한 전산서비스 중지가 감내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피해를 재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죠. 조금 더 나아가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의 재해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전산과 관련된 장애로 인하여 비즈니스 수행에 차질이 발생되는 피해 상황을 .. LoadBalancer Types: L3, L4, L7 원문: 호롤리한하루/LoadBalancer Types: L3, L4, L7 Overview 이번 문서에서는 로드밸런서란 무엇인지, 로드밸런서의 종류는 뭐가 있는지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LoadBalancer? 로드밸런서가 없는 환경에서는 위 사진과 같이 한 서버에 트래픽이 몰리는 현상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적절하게 분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역할을 로드밸런싱이라고 하고 작업을 담당하는 장비를 로드밸런서라고 합니다. 로드밸런서는 OSI 7계층중 어떤 계층을 기준으로 분산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그 타입이 나뉘어 집니다. 아래 그림은 OSI 7계층을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TCP, UDP와 같은 4계층 지표를 기준으로 분산 작업을 하는 로드밸런서라면 .. 데이터센터(Datacenter)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데이터센터를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센터란 무엇일까요? 데이터센터의 ownership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데이터센터 등급(DC Level)이 있다고? 데이터센터로 들어가볼까요? 데이터센터의 이용료는? 간략하게... 참고사항 데이터센터란 무엇일까요? 기계실, 전산실, IDC(Internet Data Center)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데이터센터, 이 데이터 센터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을 모아 놓고 일반 소비자가 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전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데이터 센터는 약 20년 전인 2000년 전후로 닷컴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함께 성장했다고 봐도 무방한데요.. 그 당시 웹페이지만 만들어도 대박이 난다고 하는 시대였다고 하는데, 마치 코로나 1.. 클라우드 전쟁, 멀티 클라우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 What is Digital Transformation and Why Cloud?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버즈워드가 등장한 지 어느덧 3년이 되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단순히 존재하는 기술을 디지털 형식으로 바꾸기보다는, 서비스 자체를 더 나은 것으로 변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사는 온라인 마켓을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CS 서비스는 챗봇으로 대신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빠른 속도로 적용하게 됬죠. 당면 과제는 눈 앞에 닥쳤고, 변화에 시급히 적응해야 하는 기업 및 기관들은 클라우드 도입을 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은행 앱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단순히 지점을 운영하고, 기존의 매뉴얼대.. [네트워크 기초 공부하기] 2. 물리 계층 IT인프라, 그 중에서도 네트워크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시작했지만,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공유합니다. 가벼운 깊이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고 싶은 분들께 알맞은 정도의 수준으로 꾸준히 포스팅 할 계획입니다. 혹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시 알려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네트워크의 기초 2. 물리 계층 3. 데이터 링크 계층 ... to be update... 이번 포스팅에서는 OSI7 계층 구분 중 1계층인 물리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가볍게 다루었듯이, 기본적으로 컴퓨터의 데이터는 0과1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이고, 이 디지털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됩니다.. [IT 인프라 알아보기] - HW 스토리지 기초편(2) 안녕하세요! 지난번 IT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요소와 HW 서버 기초에 대하여 소개를 드렸습니다! 오늘은 IT 인프라 2탄! HW 스토리지 기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니다! 1편에서 다뤄보았던 얘기를 잠시 Recap 해볼까요? [IT 인프라 알아보기] - HW 서버 기초편(https://it-ist.tistory.com/53) IT 인프라를 구성하는데에는 크게 4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IT 인프라 4대장] 1대장) Hardware(HW) - 서버 장비, 데이터 저장 스토리지, 기타 장치 등 -> 블로그 참고(https://it-ist.tistory.com/53) 2대장) Network - 애플리케이션 사용자(Client)를 서버와 리모트로 연결 해주는 것 -> 블로그 참고(https://it-is.. [IT 인프라 알아보기] - HW 서버 기초편 IT 인프라는 무엇일까요? 흔히들 국가에서 인프라 사업을 추진한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실거에요. 여기서 인프라는 Infrastructure의 줄임말로 '기반 시설'을 의미합니다. 국가의 인프라 사업이라함은 도로, 항만, 공항, 하천, 통신 등 경제 활동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초적인 구조를 만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식당을 운영 하더라도 원재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도로가 필요하고, 손님들이 결제를 하기 위해 카드 통신망이 필요하죠? 이 모든 것들을 일반적으로 인프라(기반 시설)라고 합니다. IT 인프라도 똑. 같. 습. 니. 다! IT 인프라는 회사에서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 시스템은 크게 4가지로 볼 수.. [네트워크 기초 공부하기] 1. 네트워크의 기초 IT인프라, 그 중에서도 네트워크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시작했지만,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공유합니다. 가벼운 깊이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고 싶은 분들께 알맞은 정도의 수준으로 꾸준히 포스팅 할 계획입니다. 혹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시 알려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네트워크의 기초 2. 물리 계층 3. 데이터 링크 계층 ... to be update... 1. 기초 용어들 네트워크 : 여러 사람 혹은 사물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 일반적으로 IT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네트워크라고 부르며,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된 상태를 말합니다. 인터넷 : 전 세계의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한 거대한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