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번 IT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요소와 HW 서버 기초에 대하여 소개를 드렸습니다!
오늘은 IT 인프라 2탄! HW 스토리지 기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니다! 1편에서 다뤄보았던 얘기를 잠시 Recap 해볼까요? [IT 인프라 알아보기] - HW 서버 기초편(https://it-ist.tistory.com/53)
IT 인프라를 구성하는데에는 크게 4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IT 인프라 4대장]
1대장) Hardware(HW)
- 서버 장비, 데이터 저장 스토리지, 기타 장치 등
-> 블로그 참고(https://it-ist.tistory.com/53)
2대장) Network
- 애플리케이션 사용자(Client)를 서버와 리모트로 연결 해주는 것
-> 블로그 참고(https://it-ist.tistory.com/47)
3대장)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OS)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컴퓨터(서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4대장) Middleware
- 서버가 특정 목적 및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
1대장 HW 서버의 단짝, 스토리지를 소개합니다:)
#1 스토리지 정의
- 서버가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목적을 가진 기기 or 시스템
- 1차 Storage: 컴퓨터내에 있는 HDD와 SSD
- 2차 Storage: 컴퓨터와 외부로 연결 되어있는 저장 장치(기업에서 말하는 스토리지)
속도: 1차 > 2차. 저장 용량크기: 1차 < 2차
Main 업무용 or 주센터용: 상대적으로 고성능
Back Up용: Back up SW를 이용함. VTL(Virtual Type Library), PTL(Physical Type Library)에 저장
#2 스토리지 기본 지식
-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초기의 기본적인 RAID의 개념은 작고 값싼 드라이브들을 연결해서 크고 비싼 드라이브 하나를 대체 하자는 것.
RAID의 장점:
- 고 가용성 및 데이터 보호(요즘은 데이터 보호의 의미가 더 큼)
- 저렴한 비용과 작은 체적으로 대용량 구현
- 특정 상황에서의 효율성 증가(하나의 디스크 I/O 요구에 대하여 여러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 및 병렬적으로 I/O 처리하여 효율성 증가) - RAID 종류 및 특징:
#1 RAID 0)
- 2개 이상의 디스크에 자료를 각각 저장하는 방식
- 자료는 분산되어 저장. 성능 높이는데 효과적
- 오류 체크 기능이 없어서 하나의 오류가 날 경우, 전체 자료 손실
- 데이터 분실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곳에 적합
#2 RAID 1)
- 2개 이상의 디스크에 동일한 내용을 저장
- 성능 보다는 안정성이 우선 시 되는 데이터 저장에 적합
- 동일 데이터에 대해 2배의 용량 필요
#3 RAID 1+0)
- RAID 1로 구성한 것을 RAID 0으로 묶는 구조
- 높은 성능과 Redundancy를 원할 경우에 사용
- 작업 성능 우수하지만 디스크 스페이스가 2배로 필요
#4 RAID 3)
- 1개의 Parity Disk와 나머지 Data Risk로 구성
- Parity 정보는 어느 한 드라이브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 복구 가능
- RAID1 보다 속도 저하, 특히 쓰기 작업에서 Parity 드라이브 병목현상
#5 RAID 5)
- 가장 뛰어나며 보편적인 RAID 레벨
- RAID 3과 같이 전용 Parity 디스크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마다 Parity 정보를 저장
- 동시에 복수로 읽기, 쓰기 가능
- 뛰어난 데이터 신뢰성과 성능을 제공
#6 RAID 6)
- RAID 5에서 나아가 장애 시에도 데이터 복구 가능하도록 만든 방식
- RAID 5보다 안정성이 보강되었으나, 디스크의 수량이 추가됨
- 쓰기 작업의 구현이 아주 복잡함
- 스토리지 시스템의 요구조건
- 통합관리를 통한 대용량, 고속 데이터 처리
-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공유, 분배, 보안강화)
- 확장성,유연성, 서버 접속의 용이성
#3 스토리지 종류
- 스토리지 접속방법
- 전통적인 Storage 접속방법 : DAS(Direct Attached Stroage)
- 네트워크 Storage 접속방법 : SAN(Storage Area Network), NAS(Network Attached Storage)
DAS(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외장형 스토리지 사이를 전용 케이블을 통해 직접 접속하는 방법
- 전용라인 사용으로 성능 보장과 높은 안정성
그러나, 다른 서버에 접근 불가하여 파일 시스템 공유 기술x & 확장성, 유연성 낮음.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LAN을 통해 스토리지를 접속한다는 개념
- 흔히, 요즘 개인이 많이 쓰는 Home Cloud의 개념이 NAS 방식
-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데이터를 네트워크(LAN)를 통해 저장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된 곳에서는 언제 어디서라도 스토리지를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저장장치로서의 역할. 데이터의 공유가 가장 큰 장점. 그러나, LAN 환경이 불안정하면 트래픽 문제 발생, Latency Time 증가로 인한 대규모 처리에서 성능 문제 발생
SAN(Storage Area Network)
- 광채널을 기반으로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DAS와 NAS의 개념이 혼용된 고속 네트워크
- 중앙 집중적 관리가 용이하며 높은 효율성과 매우 빠른 속도
그러나, 여러 서버들 사이에 파일 공유 X(독립적). NAS에 비해 많은 비용과 장비 투자가 필요
* SAN과 NAS의 차이점
일반적으로 NAS는 클라이언트-대-호스트 연결에 가장 적합하며 SAN연결은 고속 파일공유와 호스트-대-스토리지 연결에 더 적합하다. NAS 연결은 기존의 Infra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들고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지만, 속도가 SAN에 비해 몹시 느리다.
#4 요약
|
DAS |
NAS |
SAN |
특징 |
스토리지와 서버를 1:1로 연결하여 서버의 외장하드용으로 사용 |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토리지에 접속. 파일 공유 목적으로 사용 |
광 FC 케이블로 연결하여 |
속도 |
초고속 |
저속 |
초고속 |
일반적인 |
소규모 독립된 구성에 적합 |
비디오와 의료 이미지 등 |
데이터베이스 같은 구조화된 워크로드(고용량 및 고성능이 요구되는 곳에 적합) |
단점 |
고비용, 자원의 낭비가 심함 |
속도 및 용량적 한계성, |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음, |
'IT Note > Infra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센터(Datacenter)란 무엇일까요? (0) | 2020.07.31 |
---|---|
클라우드 전쟁, 멀티 클라우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 (0) | 2020.06.16 |
[네트워크 기초 공부하기] 2. 물리 계층 (1) | 2019.12.30 |
[IT 인프라 알아보기] - HW 서버 기초편 (1) | 2019.11.30 |
[네트워크 기초 공부하기] 1. 네트워크의 기초 (1) | 201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