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Note/Infrastructure

(23)
OCP disk pressure 해결기 원문: 호롤리/OCP disk pressure 해결기Overview노드를 운영하다보면 캐시가 쌓이고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들이나 기타 등등의 이유로 노드에 Disk Pressure경고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특히 cpu나 ram에 비해 root partition이 작으면 더 자주 발생하게 되죠. Disk Pressure가 뜬다고 당장 무언가 문제가 생기지는 않지만, pod들이 evicted되거나 장기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서 좋지는 않습니다. 이번 문서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링크) Disk pressure alarm remains on a drained node on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4 How to clean CRI-O..
아이온큐, 진짜 주식가치가 이게 맞을까? (3년만에 25배가 오른 회사) 안녕하세요, 전기톱맨입니다. 아이온큐라는 회사가 화제입니다. 3년만에 24배가 올랐습니다. 글을 쓰는 현재는 75달러를 찍고 69달러로 내려간 상태입니다. Preview. 양자컴퓨터 (Quantum computer)저 칩하나를 -273.15도 (절대0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저 주변장치들이 덕지덕지 붙어있다고 합니다. 그래야 양자의 안전성이 확보된다고요. 저도 전문가는 아니기에 빠르게 얽힘이고 중첩이고 일단 빠르게 넘어가겠습니다. 현재 아이온큐 주가가 220억달러, 한화로 30조입니다. 기아자동차 주가총액이 39조 입니다. 이제 조금 있으면 주가총액이 기아자동차를 넘어갈 거 같습니다.이 한국인 교수분이 창업에 참여한 걸로도 유명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Main 1. 아이온큐만의 맛위에 봤던 IBM의 양..
ODF Storage trick 원문 : ODF Storage trickOverview언제부턴가 ODF(Openshift Data Foundation)를 구성할 때 강제로 SSD/NVMe 디스크를 사용하게 바뀌었습니다.즉 HDD를 사용하는 장비의 경우 조건이 맞지 않아서 ODF용 디스크로 사용할 수 없게된다는 뜻입니다. 근데 성능 포기하고 기능만 체크하고 싶은데 HDD만 있다면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orkaround로 HDD를 SSD처럼 보이게 만들어주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하겠습니다. No SSD/NVMe Disks detectedHDD를 사용중이라면 아래와 같이 ODF용 디스크로 사용할 수 없다고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체크를 어떻게 하느냐~디스크의 ROTA정보를 읽어서 이 디스크가 S..
KVM에서 GPU passthrough하기 원문 : 호롤리/KVM에서 GPU passthrough하기 Overview엔터프라이즈급 가상화 플랫폼이라고 하면 생각나는 몇몇 솔루션들이 있습니다.하지만 라이센스 문제라던가 가격 등의 문제로 상용솔루션을 쓰지못하는 경우도 있죠. 그럴때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여러가지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오늘은 근본중의 근본,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가상화 기술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을 다뤄볼 겁니다. 아마 컴퓨터세상에 발을 좀 담궈봤던 사람이라면 익숙한 이름일겁니다.리눅스 서버 위에서 가상머신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를수가 없는 기술이죠. 최근 AI관련 워크로드가 늘어나면서 GPU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NVLink나 NVSwitch를 탑재..
IT엔지니어, 필리핀 마닐라 출장기 (필리핀 외노자, 네트워크 엔지니어) 전기톱맨입니다. 마닐라에 다녀왔습니다.대학생때는 막연하게 출장이란 것에 환상이 있었습니다.회사 돈을 이용해서 여행을 갔다온다.. 뭐 이런 철없는 생각이었습니다. 취직하고 해외출장을 처음 가봤습니다.대한항공 사무실 네트워크 장비를 새 랙(rack)으로 이전하는 그런 .. 작업이었습니다. 회사가 좋은 호텔을 잡아주었습니다. 그렇게 일을 하러 갔습니다. 출장을 가면 어떤 일을 할까는 항상 궁금했던 질문입니다.뭔가 높은 사람들과의 미팅?커피한잔 홀짝이면서 노트북하면서 영어로 비즈니스하기?아니고 노가다 하다왔습니다. (진짜 노가다) 과장이 아니라 진짜 노가다를 하였습니다.    랙 조립을 A-Z까지 우당탕탕해주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네탕탕탕 연결해줍니다.뒤에 2선에선 아마 Meraki나 brocade 솔루션 콘솔들..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위한 Redis: 인메모리 DB의 개념과 설치 과정 안녕하세요, 여립입니다.이번에는 Redis를 공부하고 설치하며 정리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Redis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란?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는 기존의 디스크가 아닌 컴퓨터 메모리(RAM)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과거보다 큰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메모리 활용에 긍정적인 환경이 되었습니다. 더불어 대용량 데이터의 증가와 함께 실시간 고성능 처리 수요가 높아지며,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가 개발되었습니다. Mysql, PostgreSQL, Oracle 등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는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저장하지만 Redis같은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의 주 메모리에 저장됩니다. 정보의 처리나 조회..
<카페24? 가비아? 웹 호스팅 직접 해볼게요: 1탄 , 공유기 설치> (ASUS TX AX6000) 다가오는 명절 모두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요. 이번 프로젝트는 집에 있는 컴퓨터를 서버로 활용해 웹호스팅 및 도메인을 직접 해보는 ! 계획입니다. 일단 저희 집은 SK Broadband를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로 사용합니다. 그러니깐 저 sk broadband 에서 LAN cable이 나와 제 컴퓨터에 연결되어있고 wifi 기능까지 구현해냅니다. 그런데 몇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1. 내 방에서 휴대폰 인터넷이 안된다. - 5G 무제한 요금제를 쓰고 있음에도 이 집구석이 어떻게 된 영문인지 방에서 5G뿐만 아니라 4G LTE 마저 안터집니다. 2. 웹 서버를 하나 만들고 싶다. - 웹 서버를 만드려고 하니 도메인이니 호스팅이니 다른건 다 괜찮아도 달마다 돈을 내랍니다. 이..
호다닥 톺아보는 SSL/TLS (feat. Openshift) 원문 : 호롤리/호다닥 톺아보는 SSL/TLS (feat. Openshift) Overview 2년전쯤에 X509에 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그 후속편이라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 근데 그게 벌써 2년전이라니... 이거 적으면서 확인했는데 너무 충격...😅 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선, 보안 통신과 신뢰할 수 있는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 인증서에 대한 내용을 다뤘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신 자체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연결이 Kubernetes 또는 Openshift에서는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SSL/TLS란? 웹에서의 전송 데이터가 암호화되어있지 않다면 어떤 일이 발생..
ODF Resource Customization 원문 : 호롤리한하루/ODF Resource Customization Overview OpenShift에서 가장 쉽게 스토리지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인 OpenShift Data Foundation 를 사용하게 되면 Ceph Cluster를 통해 File, Block, Object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Ceph는 오픈소스 Software Defined Storage 솔루션 중 하나로,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스토리지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Ceph를 Kubernetes위에 올리려면 Rook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올릴 수 있고 이 문서에서 자세히 다루진 않겠습니다. 크게보면 RADOS라는 스토리지 노드 위에 LIBRADOS라는 RADOS의 라이브러리가 있고, Object..
서버를 좀 더 알아보자 - 2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서버에 대한 개념을 조금 확장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에는 서버 특히 유닉스 그 중에서 AIX를 제어 및 관리하는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왜 많고 많은 운영체제 중 요즘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리눅스가 아니라 유닉스 그것도 AIX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느냐고 물어볼 수있는데 우선, 제가 관여하고 있는 고객사들 중 아직 상당수가 유닉스 그 중에서 AIX 서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 일단 유닉스를 알면 리눅스에 구조에 대해서도 파악이 용이하기에 좀 더 형님격인 유닉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닉스는 C언어 베이스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바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최상의 환경을 제공하고, 처음부터 다양한 시스템 사이에서 서로 이식할 수 있으며 멀티 태스킹과 ..
Openshift 노드 IP 변경 (feat. NMstate) 원문 : 호롤리한하루/Openshift 노드 IP 변경 (feat. NMstate) Overview 이번 문서에서는 클러스터의 노드 ip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teps 1.1 IP수동변경 일단 기본적으로 노드의 ip를 바꾸려면 물리적으로 ip를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ip를 변경하려는 노드에 접속하여 nmcli/nmtui로 ip를 변경해줍니다. NetworkManager restart도 해줍니다. 1.2 NMstate를 통한 IP변경 참고 : Openshift doc/About the Kubernetes NMState Operator Openshift doc/Updating node network configuration Kubernetes NMstate Operator는 클러스터의 ..
서버를 좀 더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일전에 서버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그 서버에 대한 개념을 조금 확장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PC라 불리는 데스크톱과 휴대성이 강조된 노트북, 태블릿까지 웬만하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갖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서버는 친숙한듯하면서 친숙하지 않은 개념입니다. 하지만 인프라에 관심을 갖는다면 빠질 수 없는 핵심 요소이기 떄문에 조금씩 개념을 확장하다 보면 그리 어려운 개념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서버가 쉽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서버란 일반적으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통칭하며 다른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서버는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