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Note

(201)
Ringle 링글 사용기 0. 아이비리그 및 영미권 유수 대학의 똑똑이들과 대화를 나누는 서비스 링글! 이제까지 써봤던 영어 트레이닝 앱 중에 제일 좋다. 2018년 여름쯤에 회사 전무님이 추천해서 쓰게 됬는데 그 전무님도 우선 외국계회사에서 AP랑 미국이랑 영어로 이야기할정도로 잘했고 미국에서 대학도 나오신 분이라 그 추천이 엄청 신뢰성이 있었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단 링글은 영어를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하시고 비즈니스 레벨로 로지컬하게 대화 능력을 쌓는 데 좋다. 어느 정도냐면 미국 중고생들도 링글을 쓰면 좋을 정도. 일단 기본회화는 되고 + 영어를 더 잘 하고 싶은 사람에게 더 좋은 서비스다. 나같이 외국계회사 다니는 사람들이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해 쓰거나 해외 대학원 다니는 주위 언니 오빠들도 영어를 더 논리적으로 더 네..
VDI(VMware Horizen Client) 사용 리뷰 안녕하세요, 에디터 푸린입니다! 간만에 새로운 아티클로 인사를 드리게 되었네요. 이번 아티클은 실제 프로젝트를 하면서 사용했던 서비스/제품 등에 대해 혹시 아티클을 써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준비해본 글입니다. 이제 곧 새해가 밝아오는데 올 한해 코로나로 인해 많은 분들이 근무 환경의 변화를 크게 겪고는 하셨죠. 그 중 하나가 재택근무인데, 랩탑을 기반으로 일하시는 분들은 걱정이 좀 적더라도 오피스에서 데스크톱 환경으로 일하시는 분들은 재택근무로 근무환경이 변했을 때 많은 어려움을 겪으셨을 거예요.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접속'이라는 방식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최근에 VDI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많은 기업들이 원격 접속을 통해 재택근무가 가능하게끔 만들었죠. 이..
[Ansible] 유용한 기능들 - When, Debug, Tag 원문: [Ansible] 유용한 기능들 - When, Debug, Tag Overview 이번 포스팅에서는 Ansible의 알고있으면 유용한 기능들을 다뤄보겠습니다. 1. 조건에 따라 특정 Task를 실행하고 싶을 때 : When Ansible은 그 구조의 특성상 하나의 task내에서 조건별로 분기를 할 수가 없습니다. 대신 task를 여러개로 쪼개서 조건에따라 실행시키게 할 수는 있죠. 이럴 때 사용하는 구문이 When입니다. 참고: Ansible doc/Conditionals 1 ansible_facts 사용 ansible_facts는 Ansible에서 각 노드에 맞게 동적으로 할당되는 변수들입니다. 노드들의 시스템정보등이 들어가 있습니다. 아래 구문을 playbook에 넣어서 실행시켜보면 - nam..
트렐로의 장점 난 세상에 존재하는 IT 제품(특히 협업툴) 써보는 걸 좋아한다. 얼마나 좋아하냐면 사용하는 제품들 블로그 뉴스레터도 구독하며 이번엔 또 어떤 기능이 추가됬는지도 받아보는 중. 적지않은 사람들과 덕후들은 발전한제품 feature가 좋아서 많이 사용해보고 많은 사람이 사용함에 따라 툴들도 고도화 되지만 한편으로는 기술이 협업툴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을 소외시키는 것 같음. 지난 시간동안 느낀건 디지털 gene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확연하게 나뉘고 그들이 협업툴을 받아들이는 속도나 정도가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조직의 Digital Transformation은 번드르르한 자료 써재끼는 것보다는 사실 사람의 체질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야됨 개발이나 디자인같은 cross-functional team ..
Ansible Basics 원문: 호롤리한하루/Ansible Basics Overview 이번 포스팅에서는 Ansible이란 무엇인지, 구조와 설치방법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Ansible? Ansible은 여러 개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환경 구성 자동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 여러 서버를 구성할 때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shell script를 만들어서 돌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서버의 대수가 많아지고 동시에 환경을 구성해야하는 일이 발생한다면 기존의 shell script로는 한계가 있을겁니다. 이를 위해 고안된 개념이 Infrastructure as a Code이며 환경의 배포와 구성을 규격화된 코드로 정의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nsible은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생성된 툴입니다..
Jira지라가 지랄맞을때 0. JIRA지라는 명실상부 아틀라시안의 대표 제품으로 개발 프로젝트 및 디버깅 협업에 있어서 사실상 국제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개발자가 아니라면 복잡한 프로세스 및 다소 어려운 사용방법으로 악명도 일부 높긴 하지만 악명이 높은 만큼 여러 곳에서 쓰인다는 반증이다. 지금은 트렐로, Wrike, 팀즈 등등으로 많은 경쟁자들이 생겼지만 Jira는 딱 전통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및 아 이렇게 돌아가는구나.. 를 파악하기 위해 한번쯤 사용해볼만한 + 그리고 빡쳐볼만한(...) 제품인것 같다. 오늘은 지라를 사용하면서 빡칠수 있는 많은 순간을 적어봅니다. 1. 클라우드 형 지라를 쓸때 - 쓰지마세요. 이건 진심 진짜 너무 느림 프로젝트 타임라인 각박한 사람들이 쓸 툴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1분 1초가 아깝고 ..
Openshift4.3 Baremetal 설치 - Restricted Network 원문: 호롤리한하루/Openshift4.3 Baremetal 설치 - Restricted Network Overview 약 5개월 전에는 베어메탈에 UPI방식으로 openshift 4.3을 설치해보는 문서를 포스팅했었습니다. -> Openshift4.3 Installation on Baremetal 이번엔 Restricted Network, 즉 Offline에서 openshift 4.3을 설치해보는 것을 기술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설치과정은 동일하지만, 설치를 시작하기 이전에 준비해야할 몇가지 사항들을 주로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 openshift document - Installing a cluster on bare metal in a restricted network Prerequisites 제가 ..
재해복구를 간단하게 알아봅시다(2) 안녕하세요, 지난주에는 재해복구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시한번 리마인드 하면 재해복구에 관심있는 기업이 자사에 도입한 재해복구 시스템의 수준은 아래 표와 같이 5단계 정도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비용이 많이들긴 하지만 그만큼 재해복구 서비스에 대한 보다 폭넓고 확실한 서비스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3번 Diaster Recovery 수준에서의 재해복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무 연속성을 중요시하는 1금융권이나 2금융권에 속하는 기업들은 5번 Business Contiunity를 추구합니다. 여기서 핵심으로 등장하는 Business Contiunity(비즈니스 연속성)을 기반으로 한 재해복구 체계를 구축하는 4대 요소에 대해 좀 더 ..
Openshift Network를 위한 몇가지 설정 원문 : 호롤리한하루/Openshift Network를 위한 몇가지 설정 Overview (2020.09.21) 위 사진과 같은 Openshift 클러스터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에 대해서 서술하겠습니다. VMware사용 Openshift 클러스터는 Private Network 구성 각 클러스터의 Public 통신은 Bastion을 통해 이뤄짐 1. VMware에서 2개의 NIC 셋업 vmware에서 vm들을 생성할때에는 필요한 네트워크 어댑터들을 수동으로 생성해서 부여해줘야합니다. 이 챕터에서는 Public NIC와 Private NIC를 가지고 네트워크 어댑터를 만든 다음, bastion노드에 두개의 어댑터를 추가해주겠습니다. 물리적 NIC 확인 제가 사용한 vmware에는 4개의 물리적NIC가 있..
아직도 구독을 안했단 말이야? 제시추천 팟캐스트 4 이진우의 손잡경이나 중앙일보 언니들의 듣똑라는 언제언제든 추천했지만 사실은 그 외에도 좋은 팟캐스트가 많다. 개인적으로 팟캐스트 콘텐츠의 매력은 그저 시각적으로 유혹하고 자극하는 영상과는 달리 찬찬히 듣고 집중하는 Lean-forward 콘텐츠라는 것. 라디오는 아직도 운전기사분들의 친구고 50대 분들은 책을 오래 보면 눈이 아파서 오디오 북을 듣기 시작했다. 오디오는 소리로서 물처럼 공기처럼 우리의 상식을 채워 준다. 그저 흘려듣든 집중하든 오디오 콘텐츠는 아직 건재하고, 여전히 발견되지 않은 소리의 쓰임이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컴퓨터를 보는데 또 아이패드로 글을 읽는게 눈이 아플 때면 팟캐스트를 틀어놓고 요가하거나 집안일을 하는데, 두가지 일을 하면서 내 손발이 자유로울 수 있어서..
재해복구를 간단하게 알아봅시다(1) 재해란 무엇일까요? 사전에는 이상적인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인 사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회적·경제적 피해를 재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IT 산업의 관점에서의 재해는 무엇일까요? 크게 나누어 보면 자연적 피해 또는 인재로 인해 전산시스템 가동이 전면 중단되고 허용 가능한 중단 시간을 초과하여 생기는 피해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발생한 시스템 불능 상태로서 수분에서 수시간 내에 복구가 가능한 피해로 나눌 수 있는데요. 요약하자면, 재해 및 장애로 인한 전산서비스 중지가 감내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피해를 재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죠. 조금 더 나아가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의 재해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전산과 관련된 장애로 인하여 비즈니스 수행에 차질이 발생되는 피해 상황을 ..
Kubernetes Monitoring with Sysdig 원문: 호롤리한하루/Kubernetes Monitoring with Sysdig Overview 이번 포스팅에서는 sysdig 플랫폼은 무엇인지, 무료로 sysdig monitoring을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Sysdig : sysdig.com Sysdig? "Ship cloud apps faster by embedding security, compliance, and performance into your DevOps workflow" Sysdig를 한 문장으로 말하자면 기업용 보안 모니터링 플랫폼입니다. 원래는 리눅스와 같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감시도구입니다. 네트워크, 디스크 I/O, 에러 등 다양한 메트릭에 대한 필터링이 가능하고 시스템로그에 기록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