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Note/Etc.

페이스북 이노베이션 랩 오픈세미나 Sum-up

*원문 보기 >> https://brunch.co.kr/@jessiejisulee/201

0. 살기바빠서 지금 업무 말고 주위를 보지 못할 때 판교를 갔다. 북바이북도 좋았지만 오랜만의 페이스북 이노베이션 랩.

 

페이스북 이노베이션 랩 올해 마지막 세션이라 2019년이 끝나기 전에 한번 더 가보고 싶기도 했고, 올해를 wrap up 하고 내년을 예견하는 아젠다가 마음에 들었다. 소문많은 산타토익의 AI를 직접 만지는 사람을 만나보고 싶기도 했고.

 

 

 

Session 1: 2019년과 2020년의 기술 트렌드 (이임복, 세컨드 브레인 대표)
Session 2: 일상 생활 속으로 점점 들어오고 있는 AR과 VR (하진우, 어반베이스 대표이사)
Session 3: 교육산업에서의 AI 활용 고민과 해결 방향 (노현빈, 뤼이드 AI 수석연구원)

이후 패널 토크, 네트워킹 시간

 

큰 컨퍼런스나 트랙이 여러개인 대형 심포지움도 좋지만 작은 밋업, 소규모 세미나가 훨씬 더 스피커와 호흡이 가까워서 더 좋은 것 같다. 그리고 경험상 솔직한 이야기가 나오기 더 편한 자리라서 명문화되어 있거나 official 한 매체에 나오지 않지만 중요한 인사이트가 돌아다니고 청중들 사이의 네트워킹도 각자 좀 덜 어색하더라. 전반적으로 세미나 분위기는 편했다. 물론 다끝나고 처음 보는 사람들하고 단체사진 찍을때는 어색했다... 

 

세션 1. 2019/2020의 기술 트렌드

-Speaker: 이임복 대표(세컨드 브레인 연구소)

뭔가 그저그런 키워드 읊어주고 억지부리는 세션일까봐 걱정했는데 전혀 그러지 않았던 세션.

페이스북 페이부터, 리브라에서 왜 피벗했는지, 네이버는 왜 네이버 파이낸셜을 만들었고 등등 어디서 들었는데 자세히는 못보고 지나간 글로벌 이슈부터 5G라는 키워드에서 멈추지 않고 소비자들은 솔직히 그냥 그렇다 라는 시장반응은 왜 그런지 까지 넓은 토픽을 이해하기 쉽게환기하는 시간.

 

20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후루룩 지나갔는데 세션 속기록은 제일 길다.

 

스피커 분도 말씀하셨듯이 IT를 한다면 사실 일상을 놓치면 안되는데 그게 너무 어렵다. 그리고 어차피 엔드 유저들은 기술이 뭐가 변하냐보다 지금 내가 그래서 뭘해야되는지, 내 인생에서 뭐가 변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깊고 오묘한 기술 스펙을 공부하느라 끙끙대다가 기술과 일상을 연결하지 못하거나 갈라파고스화가 일부 진행되는 건 아닌지 요새 나 자신을 많이 돌아보려고 한다. 환기하기에도 좋았고 깊은 기술 전문 세션을 논의하기 전에 적절한 첫번째 세션이었다.

 

Wonder Kidy 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쭉 풀어냈는데 사실 그 내용 그대로 적어봤자 제가 이임복 대표님보다 어차피 못하니까 그냥 그분 세션을 돈주고 들으시길 바랍니다.

 

제일 좋았던 부분은 그냥 컨설팅적으로 이런 산업군이 성장하고 있고 이런 결과가 예상된다는 말만하지 않는다는 점,

 

실제 주위 예시, 청중들한테 이렇게 행동하고 있냐고 손들어보라고 하고, 삶 속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뭘 놓치고 있는지 알려줘서 좋았다.

 

예를 들어서 유튜브와 AR이 노년층으로 전파되었다는 이야기들.

어차피 산책 다니는데 재밌고 편하다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이유. 2030의 포켓몬에 대한 키덜트적 그리움과는 전혀 다른 이유다. 할머니 할아버지 분들이 단톡방 만들어서 서로 이야기하고 오늘 포켓몬 떴다고 잡으러 간다는데 역시 내 주위에서 시들하다고 해서 특정 제품이 죽어버리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세션 2. 일상생활 속 AR과 VR 

-Speaker : 하진우 대표이사 (어반베이스)

작년에 미디어제작현장 워크숍 들을때 김욱영교수님이랑 말했던건데 AR이랑 VR이 실리콘밸리와 한국에서 한창 붐이불고 있는데 다 거품같다라는 거였다. 교수님은왠지 예전에 아바타 영화 나오고 3D 시장 반짝했던 느낌적인 느낌이 너무 강했고 난 그때 이게 쓸데를 찾으면 매출이야 나겠지만 모든 산업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포맷이 되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에 동감했다.

 

그래서 사실 AR과 VR로 가구 판매 촉진을 하고 있다는 어반베이스의 소개를 들었을때 냉소적으로 봤던 게 사실이고 세션을 들은 후인 지금도 AR과 VR로 진짜로 문제를 풀어내는 방식을 고안해내는 것이 이 사업체의 성패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기술 그 자체가 매직 키로서 작동하지만은 않을 듯.

 

이제 절대 내가 구비할 수 없을 것 같은 VR 기기를 활용한 접근성이 엄청 낮은 보여주기식 게임이나 마케팅적 실험에서 벗어나 AR도 진짜 존재 이유를 증명할 시기가 됬다. 그래도 이케아 플레이스 같이 그나마 AR과 VR의 유효한 활용행태로서 작은 성공을 계속해 나간다면 AR도 나름의 필요를 성립해나가며 기술 표준이 될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불가능해보이지만 해볼만한 게임을 하는 창업주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이었다.

 

주로 사업 포트폴리오와 비전, 신제품과 제품의 예상 활용도 그리고 산업군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맞아떨어지는지를 공유해주셨는데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회사 웹사이트에서 대강의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urbanbase.com/

 

어반베이스

3D 공간데이터 플랫폼 어반베이스. 실내공간을 VR·AR로 자유롭게 활용하세요.

urbanbase.com

 

하진우 대표이사님은 건축가였는데 스마트 시티를 보고 이렇게 세상이 변하고 있는데, 이런 시대에 나는 무슨일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다가 창업을 시작했다고 하셨다.

변하는 시대에 나 개인의 방어책이자 도약책으로 IT 디지털 세일즈를 시작했는데, 나 역시 그 문제의식을 잊지 않고 직업활동을 하고 있는지 반성했었던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있는 세션이었다.

 

 

세션 3. 교육 산업에서의 AI 활용 고민과 해결 방향

-Speaker : 노현빈 AI수석연구원 (뤼이드)

제일 기술적인 내용이고 마지막 세션이라 집중력이 떨어질 만했지만 청중들 모두 흡입력 있게 들은 세션. 나도 그렇고 주위 분들도 이 세션에서 장표 사진을 제일 많이 찍었다.

 

 

인공지능 튜터를 만들기 위한 10가지 필수적 고민을 공유했다. 정제된 정보를 많이 얻어가기보다는 함께 생각을 제일 많이 하게 된 세션이었고 그래서인지 현빈님께 질문도 제일 많았다.

스피커분은 논어를 읽는 이유는 남의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이려고가 아니라, 공자와 같은 높이에서 생각을 해보기 위해서이지 않느냐고 했다. 뤼이드의 고민을 솔직하게 공유하는 이유는 진짜로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 했던 고민들의 접점이고, 다같이 같은 높이에서 고민해보자는 뜻.

 

AI 모델도 그렇고 회사의 철학이나 비즈니스 모두가

굉장히 튼튼하고 묵직한 주관으로 시장을 재평하려는 포지션을 취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역시 토익으로 시작했지만 시작부터 토익으로 멈추치 않기 위해 AI 모델 설계가 이뤄진 듯.

 

학습이라는 영역에 맞춰서 Virtual agent로 계속 말을 건다거나

외적/내적 동기부여를 하는 세부적인 장치들이 있지만 서비스의 가장 핵심이되는 AI 모델은 토익이라는 도메인에 디펜던시가 없다. 알고리즘에 도메인과 상관이 없기 때문에 SAT가 되었든 아이엘츠가 되었든 충분한 정답과 오답이 있는 모든 테스트에 적용이 가능하고 아마 훈련 노하우의 축적으로 점점 더 확장에 걸리는 시간은 줄어 들 거다.

산타토익을 보고 그렇게 해서 공부가 되? 라고 묻는 사람들이 되게 많은데

내가 생각했을 때 공부는 안될지언정 점수는 나온다. SAT나 토익같은 평생학습이 아닌 목적성 테스트는 어차피 최종 goal이 점수지 소양 갈고 닦음이 아니다. 기본 공부 되어있는 사람이 단기적으로 점수 확올리기 위해서 산타토익을 보완재로 사용할 수는 있을 것 같은데 기본 공부가 안 되어있는 사람이 산타토익만으로 올릴 수 있는 점수는 한정적일 것 같음.

 

 

패널토크

밋업이나 세미나를 갈때마다 이 시간이 제일 좋다. 청중들의 날카로운 질문과 스피커의 솔직한 답변이 모여 한마음으로 앞으로를 고민해 보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이임복 대표님의 유재석 저리가라하는 진행능력과 뤼이드 노현빈님의 솔직함이 재밌어서 앞의 그 어떤 세션보다 킬링세션이었다.

토크 중간에 산타코인은 6개월 전에 나왔고 지금은 어떻게 하고 있는 건지 상장하는거냐는 민감한 질문에 현빈님이 저는 잘 모르긴 하는데 회사 다니면서 제가 느끼기에 코인 관련해서 힘을 예전보다는 지금 덜 쓰고 있는 것 같긴해요 그거밖에 모르겠네요 라고 해서 청중들 다 빵터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주위에 노현빈님을 아는 분이 있다면 셋이서 커피타임 마련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살게요.

왼쪽부터 이임복 대표님, 하정우 대표님, 노현빈 연구원님

 

하정우 대표님과 노현빈 연구원님이 말한 것 중에 제일 흥미로웠던 것은 두 스타트업 모두 "쉬운 시작"을 했다는 것.

아마존이 처음 책을 시작한 이유는 신선식품과 달리 사고로 1-2일 지연배송되도 소비자의 컴플레인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팔리지 않아도 ISBN에 의해 분류되어 정리된 창고에서 안 썩기 때문에 재고 관리가 쉽다.

마찬가지로 토익은 실제 시험보는 사람과 구매결정권자가 같아서 세일즈 사이클을 뚫는 것이 상대적으로 생각할 지점이 줄어들며, 한번쯤 망해도 다시봐도 된다...나도 대학때 토익 여러번 봤었던 기억이...

사실 수능이나 공무원 고시는 목숨이 걸린 시험이라 진입 장벽이 높은 것은 사실. 비즈니스 로드맵 상 산타토익은 SAT와 컨텐츠 해외 수출로 계속해서 확장을 하고 있다. 쉬운 시작으로 니치마켓으로 작은 성공을 하고, 그 자본금으로 런웨이를 만들어서 하나하나 깨나가는 게 확실히 효과적인 동시에 현실적인 유일한 방법이다.

어반베이스 역시 처음부터 인테리어와 가구 분야에서 사업을 시작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으나 한국 VC 의 특성상 뭔가 될 것 같은 비즈니스 모델이 일단 있어야 시리즈 A를 받아 후사를 도모해야 했다. 자동차나 드론, 공장같은 인테리어가 아닌 산업 구조물들에서도 수익 창출의 여지가 있으나 규제 및 사업의 사이즈 등등으로 우선 카이스트랑 풀어내는 등 온건책을 펼치는 중.

어반베이스는 도면 스캐닝을 통해서 모델링을 하는 신제품 AR scale으로 원래는 도면 수집을 스스로 해서 스스로 DB에 쌓는 공수를 단축했다. 건축주 공장주가 올리는 시스템. 공장같은 경우 일단 시작하기에는 비용 자체가 안맞았으나 쉬운 시작과 성공을 거듭해 AR scale을 내면서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셈이다.

 

 

 

 

 

반응형